연구 검색 결과 (12건)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전쟁으로 인한 국제 곡물가 급등, 수에즈 운하를 막은 초대형 선박 좌초 사고, 중국의 전략자원 수출 제한, 미국의 첨단기술 중심 무역장벽 강화 등 최근 몇 년간 세계는 반복적으로 공급망 취약성을 경험하고 있다. 공급망(Supply Chain)은 원자재 확보에서부터 중간재 및 완제품 생산을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우리는 2019년 일본의 수출 규제, 2020년 마스크 부족 사태, 2021년 요소수 대란 등 연이은 수급 위기를 통해 필수물자가 특정 국가의 정책이나 외부 변수에 의해 차단될 경우, 그 파급효과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직접 경험했다. 이처럼 공급망 리스크가 현실화된 시대에는 경제안보 관점에서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대응 전략이 필수적이다. 이는 국민 ...
1960년대부터 시작된 세계화는 국가 경제 및 지역 발전과 국제 무역, 글로벌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s, 이하 GVC), 생산 네트워크 간의 연계를 강화해왔다. 동기간 동안 외국인직접투자(FDI)와 무역은 지속 확대되었으며, 국가 경제 발전 수준에서도 국가의 GVC 참여 특성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었다(World Bank, 2020). 1980년대에는 ... 요소로 인식(O’Neil, 2021)하며 무역 충격에도 빠른 회복이 가능한 탄력적 공급망 구축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미국은 “Building Resilient Supply Chains” 이니셔티브를 출범해 공급망의 취약성 파악과, 4대 핵심 산업(반도체, 전기차용 첨단 배터리, 주요 의약품 유효성분, 첨단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주요 광물 및 ...
... 동시에 존재 (1) 1종 오류: 반도체 생산과 관련 없는 사업체가 산업분류코드 내 혼재 (2) 2종 오류: 반도체 생산 관련 사업체이지만 반도체 특화 산업분류 코드가 아닌 다른 산업분류코드에 속함. ○ 이와 같은 표준산업분류의 1종ㆍ2종 오류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새로운 미시기반 거시분석 방법론이 필요 □ (해결책) 텍스트 분석을 통해 거시경제를 분할하는 새로운 분석 방법론인 ‘산업밸류체인’을 제시 ○ 본 연구는 산업밸류체인 분석 방법론을 개발하여 제시함. ○ 본 연구는 산업밸류체인(Industry Value Chain, IVC)이라는 새로운 분석 방법론의 필요성을 다른 유사 밸류체인 개념과의 차이점으로부터 설명하고, 반도체를 대상으로 산업밸류체인 분석을 시연하는 것을 목표로 함.
동향 검색 결과 (8건)
<Agenda> 1. What is ROK’s strategy for international trade, especially in relation to China and the US? What are the approaches from China? 2. How are you responding to China's export restrictions on graphite and other materials? 3. How do ROK’s supply chain early warning systems operate? 4. What is the government's industrial policy? Where is the ROK government focusing ...
Discussion topics 1. The current status of South Korea's foreign trade, the challenges South Korea faces, and development prospects. 2. The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areas of synergy in China-Korean ... States and Japan on China-Korean economic and trade relations, as well as the stability of industrial and supply chains, along with the strategies to address them. 4. Feasible measures to promote stable economic...
... amid the Multilateral Institutions 그레이스 청 TIER 국제협력실 실장 토론 1 발표 2 토론 2 마크 사부리 RIETI 대외협력실 실장 The Trend of Reshoring Critical Supply Chains and Challenges to Taiwan 코셩 리엔 TIER 제8연구실 실장 황경인 KIET 박사 오찬 RIETI 세션 13:30~15:10 좌장 발표 3 주현 KIET 원장 RIETI’s EBPM Initiative in Searching for Better Supply Chain Management 마크 사부리 RIETI 대외협력실 실장 토론 3 발표 4 토론 4 김수동 KIET 박사 Transmission of ...
소통 검색 결과 (62건)
연구원소개 검색 결과 (2건)
... history” “that rivals the economic growth” “achieved by Korea since the Korean War.” -Peter Drucker Korea's economic development has often been described as a “miracle.” But it was anything but. The remarkable ... financial crisis of 2008 up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unfolding now amid major shifts in global supply chains, KIET has long been committed to guiding Korean industry down the right path when the economy ...
ㅁ 연구내용 ○ (산업통상 환경 변화) 공급망 무역(supply-chain trade)의 확산, Factory Asia, Factory Europe, Factory North America 등 지역경제 통합 현상, 무역-투자-서비스 연계의 발전, 신흥국 특히 아시아의 산업적 부상 등 산업통상 환경의 변화 분석 ○ (산업통상전략) 새 패러다임의 무역이 제기하는 통상 이슈를 점검 분석하고, 새로운 무역규범에 대한 대응, 산업협력, 개발협력 등 산업통상의 방향 모색 ○ (지역별 산업통상전략) 세계 지역별 조건에 적합한 지역 맞춤형 산업통상 전략 모색 ㅁ 연구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범위 및 방법 Ⅱ. 산업통상 환경의 변화 1. 공급망 무역의 확산 2. 글로벌 가치사슬 확산 ...
첨부파일 검색 결과 (19건)
Discussion topics 1. The current status of South Korea's foreign trade, the challenges South Korea faces, and development prospects. 2. The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areas of synergy in China-Korean ... States and Japan on China-Korean economic and trade relations, as well as the stability of industrial and supply chains, along with the strategies to address them. 4. Feasible measures to promote stable economic...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