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t 산업연구원 kiet 산업연구원

SITEMAP

NEWSLETTER 구독신청

이슈 페이퍼

시급한 주요 현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부 및 유관 기관에게 대응 전략과 정책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는 보고서

표지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사업 추진에 따른 대학의 지역혁신허브 기능 강화 방안 연구 원문 미리보기원문 다운로드 2025.06.30

# 지역혁신 # 대학지원 # 지역-대학 동반성장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기대효과

제2장 지역혁신허브로서의 대학의 정체성과 정책적 기반
1. 지역혁신이론
2. 지역혁신허브로서의 대학의 개념 
3. 대학재정지원사업 현황

제3장 RISE사업 추진 현황 및 현안 점검
1. 추진 배경 및 현황 
(1) 추진 배경 
(2) 추진 현황
2. 현안 점검

제4장 대학의 지역혁신효과 분석 
1. 혁신활동의 중심지로서의 효과 분석
(1) 분석 개요
(2) 분석 결과
2. 혁신파급의 매개체로서의 효과 분석 
(1) 분석 개요
(2) 분석 결과
3. 분석 결과 요약 및 시사점

제5장 대학의 지역혁신허브기능 강화를 위한 실행전략 
1. 전략설정의 기본방향 
2. 실행전략

참고자료
 

 
우리나라의 지역 간 불균형 문제, 특히 수도권으로의 생산, 일자리, 인구 등의 쏠림 현상은 지속적으로 심화되는 양상(허문구 외, 2023)
2019년, 수도권 인구가 처음으로 전국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되면서 지방소멸의 문제가 사회적 화두로 대두(허문구 외, 2023)
 
인구 및 일자리의 수도권 쏠림현상은 지역뿐 아니라 지역대학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
 2021년 행정안전부 지정 인구감소지역 89곳 중 85곳이 비수도권 지역에 해당되며, 같은 해 미충원 신입생 4만 585명 중 3만 458명(75%)이 지방대학에 집중(교육부, 2023)
이는 단순한 고등교육기관의 문제를 넘어 지역의 지속가능을 위협하는 구조적 문제로 확대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학이 가진 기존의 교육과 연구 중심의 정체성을 넘어,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혁신을 촉진하는 주체로서의 전환이 요구
즉, 특히 지역이라는 공간적 범주에서 대학이 어떤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가에 대한 정책적 고민이 절실한 시점
 
지역과 지역대학의 공동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으로 정부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egional Innovation System &Education, RISE)’사업을 도입하여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 중
RISE사업은 “대학이 지역 혁신의 중심이 되도록 지원해 지역과 대학이 처한 공동위기를 극복하고 동반성장을 도모하는 체계”(교육부 보도자료, 2024. 12. 26)
 
RISE사업의 성패는 지역대학이 지역혁신의 핵심 거점(지역혁신허브)으로서 기능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으므로, 지역대학이 지역 내 혁신역량 및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대학이 혁신허브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등에 관한 논의가 필요
 
본 연구에서는 RISE사업이 단순히 재정지원을 재조정하는 데 그치지않고 대학이 실질적으로 지역혁신의 핵심 거점으로 기능하는 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조건과 정책적 보완이 필요한지에 대하여 고찰
 
궁극적으로 ‘RISE사업 추진’이라는 제도적 전환을 계기로 대학이 지역혁신허브로서 실질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과 실행전략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목적
보도 자료

목록
공공누리

산업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KIET 이메일 주소 확인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만족도 조사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live

KTV생방송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 서비스산업 정책 과제는?

주관 : 산업연구원

연구진 소개

  • 학력
    • Osaka Prefecture University (Ph.D)
    경력
    • 2021.06 - 현 재 제22대 산업연구원 원장
    • 2017.10 - 2019.05 대통령비서실 중소기업비서관/중소벤처비서관 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
    • 2015.04 - 2017.10 한국중소기업학회 부회장
    • 2015.03 - 2017.02 한국산업조직학회 감사
    • 2009.03 - 2017.10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이사
보고서
접수완료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접수완료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세미나 팝업_세미나
팝업_유튜브 영상

요약 보기

월간 KIET 산업경제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조업 고용 변화: 중간 점검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
KiET 직원 정보 확인
감 사

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KIET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KIET 홍보동영상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