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35건)
... 상호 국방 조달시장을 개방하여, 국내법 및 규정에 합치되는 범위 내에서 상호 호혜 원칙에 따라 상호 시장 진입에 대한 장애 요소를 제거하여 자유로운 경쟁을 허용함. 미국은 RDP-A 체결 국가에 대해 미국산우선구매법(Buy American Act, BAA) 적용을 면제하고 있으며, 관세 의무 또한 면제하고 있음 한국 역시 이에 상응하는 조치로 한국산우선획득제도(Korea Defense Capability, KDC)의 면제 등 국방 조달시장의 일부를 개방하는 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전망됨. 미국은 현재까지 총 28개 국가와 RDP-A를 체결하였으며, 주요 우방국가 중 RDP-A를 체결하지 않은 국가는 한국이 유일함. 1980년대 말부터 협정에 관한 양국 간 논의가 있었으나 2022년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국정과제 ...
... 확대와 중대 인프라 건설 투자 등을 추진하는 한편, 공급망 안정화를 위하여 과학기술 자립 및 디지털 경제발전을 도모하며, 기후변화위기 대응 저탄소녹색발전을 위한 정책을 가속할 예정 미국과 중국의 전략경쟁이 격화되고 중국의 적극적인 경제·산업정책 추진 속에 우리의 전략적 자율성 확보가 시급 중국과의 분업구조 유지 및 첨단분야에서 디커플링에 대응한 상호 배타적인 공급망 관리 등의 대중국 전략 재편 필요 공급망 관리 차원에서 높은 대중국 수입 편중도 관리가 필요 여전히 전략적 가치가 매우 높은 중국 시장에 대한 맞춤형 공략이 필요 중장기적 측면에서 ‘피크 차이나(Peak China)’보다 오히려 ‘피크 코리아(Peak Korea)’에 대한 대비가 절실
산업화는 개발도상국 경제성장의 핵심 요인이다. 이러한 산업화가 최근 당면하는 기후변화, 전염병 등의 글로벌 도전과제는 과거보다 더 심각하고 복잡하여, 이들을 해결하고 글로벌 상호연결을 강화하기 위해 2030 지속가능발전 의제 및 지속가능발전목표(SDG)가 채택됐다.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의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발전(ISID)’이 산업화를 위한 중요한 패러다임이 된 것도 이런 상황 변화를 반영한 것이다. 산업화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 전환, 경쟁력 강화,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필수적이다. 역사적으로, 농업 활동과 자원 추출·채굴에서 보다 다양하고 생산적인 산업으로의 구조 전환을 실현한 경제는 번영을 증대할 수 있었다. 짐바브웨 정부는 경제개혁과 산업구조 조정, ...
동향 검색 결과 (20건)
산업연구원(원장 권남훈)은 5월 14일 제주 롯데호텔에서 ‘제1차 한-아세안 싱크탱크 다이얼로그(AKTD: ASEAN-Korea Think Tank Dialogue) 컨퍼런스를 산업통상자원부, 대한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 행사에는 한국과 아세안10개국의 싱크탱크 대표들을 비롯해 아세안사무국, 아세안동아시아 경제연구소(ERIA), 아시아 재단, 연세대, 한-동남아 정책협력센터 등 산·학·연 관계자 100여명이 함께 하였다. 권남훈 산업연구원장은 주제발표에서 “AKTD는 한-아세안이 지속 가능한 협력과 공동 번영을 위해 정책과 비전을 공유하는 플랫폼”이라며 “오늘 제1차 컨퍼런스는 다양한 국가와 제도, 문화를 가진 정책 전문가들이 함께 ...
<논의내용> 1. Findings from the Korea Innovation Policy Review 2. OECD work on industrial policy and industrial decarbonisation 3. Strategic competition and how that shapes industrial and STI policy
소통 검색 결과 (1282건)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한국의 대미 부가가치 수출 진단과 대응 방향 본문요약 대미 직접 수출과 달리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부가가치 수출은 미 관세정책의 직접적인 영향권 멕시코, 중국, 베트남, 캐나다 등 대미 부가가치 수출의 상위 경유국은 미 무역적자 상위국과 겹치면서 대미 부가가치 수출 하락세 심화 우려 멕시코·캐나다 경유는 USMCA, 중국·베트남 경유는 대중국 견제 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고 있어 트럼프 2기 통상 정책 변화를 예의주시해야 대미 부가가치 수출 경유국 및 주요 산업은 미국의 수입시장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 트럼프 2기 정부는 미 무역 ...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한국 배터리 산업 위기 진단과 극복 전략 본문요약 · EV 보조금 후퇴 後 2 가지 현상 : ① EV 판매 ↓ , ② 배터리 점유율 韓 ↓ , 中↑ · EV 배터리는 ① 보조금 민감도 높고 , ② 저성장 국면에서 LFP 상대 수요↑ 때문 · 美 EV 구매세액공제 9 월말 폐지 ... 美 시장도 독일 (-27%) , 스웨덴 (-16%) , 프랑스 (-3%) 뒤따를 수도 · AMPC 중국 공급망 규제 도입 ...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국가첨단산업과 연계한 지역대표 전략산업 선정 방안 본문요약 지역전략산업의 유사·중복 지정으로 인해 전략적 투자를 위한 비효율성 우려 국가·지역 산업정책 연계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지역대표 전략산업 2계층 구조 및 정량적·정성적 선정 방안 제시 정량지표 기준으로는 시‧도별로 평균 4.6개 산업이 지역대표 전략산업(대분류) 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산업육성을 위해 종합발전계획 수립과 중앙-지방 연계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법제도 마련 필요 내용 문의 깁현우 전문연구원(044-287-3285) ...
연구원소개 검색 결과 (2건)
... become territory in the name of the country. Humans are 'Animals of space'. For the past 20 years, Center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of KIET has been trying to balance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thinking about the right solution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20 years of our struggle to achieve equity in the space we live in has been a time of challenge for bettering our lives as spatial animals. ...
“There is nothing in recorded history” “that rivals the economic growth” “achieved by Korea since the Korean War.” -Peter Drucker Korea's economic development has often been described as a “miracle.” But it was anything but. The remarkable achievements of our economy are not a result of luck. Rather, they are the fruit of hard work,and the just reward for overcoming significant challenges. The pride ...
연구진&연구분야 검색 결과 (4건)
동남아, 해외 인프라(에너지·자원) 사업
북한산업, 개발협력, 산업협력 Green/SDGs
산업·무역계량분석
첨부파일 검색 결과 (1031건)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